전체 글 35

t검정, F검정, 카이제곱검정

추후 자세히 정리 (2)g 통계기법 4가지-t검정,ANOVA,상관분석/회귀분석, 카이제곱법 통계기법 중에 수많은 통계기법들이 있습니다. 이 중에서 우선 4가지 기법을 먼저 아시면 통계학을 공부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4(싸)가지"란 단어가 비속하더라도 양해를 부탁합니다. 여러분의 rsas.tistory.com 통계분석 공부순서(t검정,F검정,분산분석,상관분석,회귀분석) 자주 사용하는 통계 분석에는 아래와 같은 방법들이 있습니다. t검정 F검정 분산분석 상관분석 회귀분석 t검정은 평균을 비교하는 검정이고 F검정은 분산을 비교하는 검정입니다. 가장 기본적인 hsm-edu.tistory.com 카이스퀘어 검정(T검정과 F검정) Probability life | 바보온달 http://blog.naver.com/..

Data science/통계 2023.04.06

McNemar test (맥니마 검정)

McNemar test (맥니마 검정) - 짝을 이룬 범주형 데이터 (paired norminal data)에 사용하는 검정 - 또는 각 관측치 간에 독립성이 만족하지 않을 때 사용 (출처) - 피험자 내 카이제곱 검정이라고도 함 - 카이제곱 검정 : 링크 참고 Example. 참고자료 Table 2는 augmentation 하기 전후를 비교하기 위해 McNemar test를 사용하여 P-value룰 구함. 이와 같이 각 metric 별로 구할 수 있음. 예를 들어 위 Top-1의 경우를 보면 before after Sensitivity TP / TP+FN 25/39 = 64.1% 25/39 = 64.1% Specificity TN / FP+TN 220/256 = 85.9% 232/256 = 90.6% ..

Data science/통계 2023.04.06

HTML이 중요한 이유

- 어떤 글의 제목을 작성할 때, 제목에 '굵게' 옵션과 '크기' 조절을 하여 제목을 만드는 것 보다 제목 옵션을 주는 것은 다름 - 전자는 제목 - 후자는 제목 1. 사용자가 검색엔진에 제목을 검색했을 때, 후자의 방법으로 쓰여진 웹사이트가 노출될 것! - 웹의 접근성과 개방성 (웹은 모든 os에서 동작하고, 웹페이지의 소스코드는 누구나 볼 수 있으며, 저작권이 없는 순수한 공공재) - 웹을 예쁘게 보이기 위해 문자를 이미지로 삽입하면 접근성에 문제가 생김 (예를 들어 시각장애인은 스크린 리더라는 기술로 웹페이지를 읽지만 이미지로 표현된 문자는 읽을 수 없음) 2. 위에서 설명한 웹의 accessibility를 만족하기 위해 모든 사용자가 웹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려면 HTML 문법을 알맞게 사용해야 ..

HTML 기본 구조 & 태그

1. HTML Headings heading, 즉 헤딩의 약자로, 하나의 제목을 만들 때 쓰입니다. HTML heading은 부터 … wikidocs.net 융의일상기록 : 네이버 블로그 공부 블로그 티스토리로 이동! https://yun-naa.tistory.com/ blog.naver.com ↑ 이전에 정리해놨던 글 (HTML 기본 구조) * 슈퍼스타 태그 : 브라우저는 스스로 HTML 문서의 버전을 판단하기 어렵기 때문에 사용자가 직접 Version을 선언, HTML5를 사용함을 브라우저에 선언 ​ : 전체 html 문서 감싸는 태그 ​ HTML CSS JavaScript HTML이란 무엇인가? Hypertext Markup Language (HTML) is the standard markup la..

시작하는 글

병원에서 인공지능 관련 연구를 하면서 진척 사항 뿐만 아니라 새로 알게된 개념, 에러 해결법 등을 연구노트에 정리하고 있다. 날짜별로 작성하는 연구노트 특성 상 정리해놓았던 개념을 복습하기가 어렵고 분명 같은 에러인데 어떻게 해결했는지 찾기도 어려웠다. 금붕어 같은 기억력 때문에 지난 연구노트를 몇 번이고 뒤져보는? 일이 생기다보니 블로그에 작성하는 것이 낫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래서 나의 티스토리 이름은 금붕어의 정리 노트 ㅎㅎ) 네이버에서 일상 블로그도 운영해 보았지만.. 귀찮은 걸 무지무지 싫어하는 나는 이마저도 중도 포기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다음 규칙을 가지고 시작해보려 한다! 1. 가독성, 디자인에 집착하지 말자. - 정리 노트로써, 내가 알아볼 수 있으면 그만, 최대한 간결하고 쉽게!..

카테고리 없음 2023.04.03